위례성 백제사 1 (알역62코너)

위례성 백제사 1 (알역62코너)
위례성 백제사 1 (알역62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한종섭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집문당 / 1994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16쪽
정가 / 판매가 10,000원 / 8,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목차

Ⅰ. 하남 위례성을 찾아서
1. 제단(祭壇)과 도시 계획
2. 초기 백제의 신앙과 사상
3. 칠성단(七星壇)

Ⅱ. 백제 하남 위례성 동쪽에서 시작된 일본의 고대국가
1. 백제와 일본에 대한 쟁점은 무엇인가
2. 하남 위례성에서 구상한 대화왜(大和倭)
3. 대화왜의 수립시기와 백제
4. 백제의 태양숭배 사상으로 세운 일본의 고대국가

Ⅲ. 중국 요서(遼西)지방은 백제의 신성(神聖) 통치구역
1. 백제의 서쪽은 어떤 방향인가
2. 백제 중국 통치지역은 어느 곳인가
3. 중국·일본지역의 세력 확장은 어떤 방법을 선택했나
4. 중국·일본·백제사 자료의 본질은 무엇인가
5. 백제의 해외 진출지에서 나타나는 유적
6. 자연인류학에서 본 백제인의 일본 진출

Ⅳ. 하북 위례성의 위치에 대한 연구더보기

Ⅰ. 하남 위례성을 찾아서
1. 제단(祭壇)과 도시 계획
2. 초기 백제의 신앙과 사상
3. 칠성단(七星壇)

Ⅱ. 백제 하남 위례성 동쪽에서 시작된 일본의 고대국가
1. 백제와 일본에 대한 쟁점은 무엇인가
2. 하남 위례성에서 구상한 대화왜(大和倭)
3. 대화왜의 수립시기와 백제
4. 백제의 태양숭배 사상으로 세운 일본의 고대국가

Ⅲ. 중국 요서(遼西)지방은 백제의 신성(神聖) 통치구역
1. 백제의 서쪽은 어떤 방향인가
2. 백제 중국 통치지역은 어느 곳인가
3. 중국·일본지역의 세력 확장은 어떤 방법을 선택했나
4. 중국·일본·백제사 자료의 본질은 무엇인가
5. 백제의 해외 진출지에서 나타나는 유적
6. 자연인류학에서 본 백제인의 일본 진출

Ⅳ. 하북 위례성의 위치에 대한 연구
1. 십제(十濟) 건국에 적합한 위치는 어떤 곳일까
2. 초기 집단의 삶과 방어에 적합한 곳
3. 방학동 금석문 엄( )자는 어느 때 것일까
4. 해가는 길 엄( )자가 발견된 방학동 주변은 어떤 곳인가

Ⅴ. 고대의 유적을 어떻게 찾고 판단할 것인가
1. 향토사 연구의 특성
2. 현장답사를 하기 전에 알고 있어야 할 것
3. 고대인들의 사상을 알고 있어야 한다
4. 삶의 환경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5. 자연 변화를 예측한다
6. 땅 표면의 형태를 정립한다
7. 총체적인 연구는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

Ⅵ. 경인(京仁) 백제사
1. 경인 향토사의 특성
2. 경인지역의 특성과 역학관계
3. 백제 건국과 소금의 중요성
4. 백제 소금통로의 연구
5. 백제 건국과 신정동 토성
6. 한강 서북은 어느 곳인가
7. 허암산 토성과 주변의 지표 조사

Ⅶ. 백제 토성 방어에서 본 경인지역
1. 계양산성은 백제의 미추성(彌鄒城)이다
2. 매봉산 백제 군사유적
3. 궁산(宮山)의 석성(石城)
4. 도덕산 봉화터

Ⅷ. 백제 비류(沸流) 집단에 대한 연구
-백제우물

Ⅸ. ≪일본서기≫에서 본 백제인 일본 고대국가 건국
1. 백제사의 왜곡된 원인에서 현재까지
2. ≪일본서기≫에서 본 백제인의 일본 나라(奈良)지방 이주
3. 백제인의 일본열도 왕래
4. 신공황후 47년의 백제사
5. 신공황후 49년의 실체는 무엇인가
6. 백제인들이 어느 때 대화왜를 건국하였을까
7. 2세기경 백제는 일본 진출을 쉽게 할 수 있는 강한 체제를 구성하였다
8. ≪일본서기≫에 백제사를 쓰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Ⅹ. 성터의 연구
1.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의 역할
2. 작전술에서 본 성터 연구
3. 남한산성과 교산동 토성의 토문
4. 하남 위례성의 통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XI. ≪삼국사기≫초기 건국 기록의 올바른 인식
1. 초기의 한성은 백제의 하남 천도 전부터 있던 성이다
2. 백제의 건국은 어느 때인가

XⅡ. 역사의 거대한 흐름
1. 불가사의한 현상
2. 온조 사당과 어용샘(御用泉)
3. ≪남한비사≫에서 본 사성(蛇城)
4. 자연숭배와 불교의 공존
5. 백제 국호(國號)의 연구
6. 해가는 길에서 본 백제의 신성구역
7. 왜 잊어버릴 수밖에 없는 역사의 수수께끼가 되었나

XⅢ. 백제 성형문토기의 연구<논문>
< 논문에 대한 취지>
1. 머리말
2. 토기는 어떤 영향력에서 구성되었나
3. 성형문은 어떻게 시문(施文)되나
4. 성형에서 발생하는 무늬의 종류
5. 경인지역의 지표조사에서 본 성형문토기
6. 백제의 특성과 성형문토기
7. 성형문토기 시대구분의 영향
8. 맺음말

XⅣ. 하남 위례성지의 구명에 대한 연구
1. 열림글
2. 집단의 형성과 해산물
3. 은조왕 14년의 연구
4. 임산자원(林産資源)에서 본 하남 위례성
5. 검단산 제단
6. 군사력에서 예측한 도성의 규모
7. 교산동 토성
8. 맺음말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