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알가23코너)

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알가23코너)
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알가2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종수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박영사 / 2015년 초판
규격 / 쪽수 190*260(노트 정도의 크기) / 302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38,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목차

제1편
유토피아와 공동체

제1장 머 리 말
Ⅰ. 왜 공동체인가 4
1. 인간의 공동체적 자아_4
2. 효용론적 관점_7
3. 도덕적 규범_11
Ⅱ. 한국사회 공동체의 위기 13

제2장 유토피아에 대한 꿈
Ⅰ. 낙원에 대한 기억, 혹은 미래에 대한 희망 17
Ⅱ. 유토피아의 출현과 진화 20
Ⅲ. 문학과 사회주의 속의 유토피아 24
1. 문학이 그린 유토피아_25
2. 사회주의 속의 유토피아_30
Ⅳ. 생활공동체와 종교공동체의 시도 34
1. 이상적 생활공동체의 실험_34
2. 종교공동체의 경우_36
Ⅴ. 맺 는 말 40더보기

제1편
유토피아와 공동체

제1장 머 리 말
Ⅰ. 왜 공동체인가 4
1. 인간의 공동체적 자아_4
2. 효용론적 관점_7
3. 도덕적 규범_11
Ⅱ. 한국사회 공동체의 위기 13

제2장 유토피아에 대한 꿈
Ⅰ. 낙원에 대한 기억, 혹은 미래에 대한 희망 17
Ⅱ. 유토피아의 출현과 진화 20
Ⅲ. 문학과 사회주의 속의 유토피아 24
1. 문학이 그린 유토피아_25
2. 사회주의 속의 유토피아_30
Ⅳ. 생활공동체와 종교공동체의 시도 34
1. 이상적 생활공동체의 실험_34
2. 종교공동체의 경우_36
Ⅴ. 맺 는 말 40

제3장 공동체주의 이론의 부상
Ⅰ. 들어가는 말 43
Ⅱ.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논쟁: 전개와 내용 44
1. 공동체주의의 등장_44
2.공동체주의의 내용과 논점: 자유주의와의 논쟁_46
Ⅲ. 논쟁의 의미와 자치공동체에 대한 함의 53
1. 두 이론의 관계에 대한 재해석_53
2. 자치공동체에 대한 함의_58
Ⅳ. 맺 음 말 61
1.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한국사회의 반응_61
2. 자치공동체의 회복 방향과 실천과제_62

제4장 새로운 공동체의 원리로서 공공성
Ⅰ. 서 론 65
1. 공공성의 의미_65
2. 공동체의 운영원리로서 공공성_67
Ⅱ. 공공성의 역사적 진화와 구성요소 69
1. 공공성의 역사적 진화_69
2.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공공권역_72
Ⅲ. 공공성의 구성요소와 한국사회의 공공성 74
1. 공공성의 구성요소_74
2. 한국사회의 공공성에 대한 비교론적 시각_77

제5장 분권화와 민주주의, 사회자본, 그리고 성장의 관계
Ⅰ. 분권화의 효과에 대한 논의 81
1. 민주주의, 사회자본과 성장_81
2. 세계적 분권화 물결과 경제적 성과_83
3. 분권화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_84
Ⅱ. 분권화와 민주주의, 사회자본, 경제적 능률성의 상관관계 87

제2편
공동체 속에서의 풀뿌리자치와 행정

제6장 공유사회를 위한 담론과 사례
Ⅰ. ‘공유’의 차원 98
1. 생산력의 총체적 공유와 맑시즘_98
2. 사회적 경제 혹은 공유경제 운동_99
Ⅱ. 공유의 대상과 요소에 대한 시각 102
1.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_102
2.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_105
Ⅲ. 공동체의 공유를 위한 시도와 전략 107
1. 다양한 공유의 시도와 전략_107
2. 공유를 위한 전략의 모색_109
Ⅳ. 협동조합과 마을기업 그리고 사회적 기업 111

제7장 자치를 위한 주민참여 제도
Ⅰ. 참여의 가치와 시각 115
1. 수단적 ‘효율성’과 과정적 정당성_115
2. 뉴거버넌스를 위한 참여의 가치_116
3. 공동체의 조건, 혹은 공동체 자체로서의 참여_117
4. 인간의 존재론적 욕구와 참여_118
Ⅱ. 참여의 사다리, 그리고 배제의 메커니즘 119
Ⅲ. 공동체의 자치를 위한 직접적 참여: 제도와 실태 122
1. 주민투표_123
2. 주민소환_125
3. 조례청구 제도_127
4. 주민청원, 주민소송제_128
Ⅳ. 맺 음 말 130

제8장 공동체행정의 혁신전략
Ⅰ. 혁신의 특징 131
1. 소망스러운 방향의 확인_131
2. 시간: 변화의 경제성과 창조력_133
3. 위 기_134
Ⅱ. 공동체행정의 혁신에 대한 평가 135
Ⅲ. 민주적 주민투표와 효율적 SNS 활용 사례 138
1. 주민투표 방식을 활용한 정책결정 사례_138
2. 성남시의 SNS를 이용한 민원처리 사례_139

제9장 공동체정부 형태의 다양화
Ⅰ. 지역의 맞춤형 정부 141
Ⅱ. 공동체정부의 다양화를 필요로 하는 요인 142
1. 정당공천 폐해의 자연스러운 극복_142
2. 지방의원 유급제로 인한 딜레마 해소_145
3. 주민들의 탈정치화 욕구 충족_146
Ⅲ. 각국의 사례와 공동체정부의 다양화 방안 147
Ⅳ. 한국의 쟁점과 지역공동체정부의 다양화 151
1. 기관분립형_151
2. 기관통합형_152
3. 집행위원회형_152

제10장 최적의 자치단체 규모에 대한 시각들
Ⅰ. 유토피아의 규모 155
Ⅱ. 하워드의 전원도시와 페리의 근린주거 규모 157
Ⅲ. 애착과 신뢰 측면의 이상적 주거공동체 159
Ⅳ. 경제적 능률성 측면의 최적 도시규모 160
Ⅴ. 자치단체 규모 및 통합 논쟁에 대한 시사점 164

제3편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과 자원

제11장 지역발전의 패러다임 변화
Ⅰ. 서 론 172
Ⅱ. 지역발전의 패러다임 변화과정 174
1. 개발 패러다임_174
2. 균형성장 패러다임_176
3. 유연화(柔軟化) 모형_179
4. 지속가능한 환경 모형_180
5. 혁신과 첨단산업 도시_182
6. 문화경제와 예술을 매개로 하는 지역발전_186

제12장 주거지역에 대한 애착과 신뢰의 영향요인
Ⅰ. 서 론 19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_19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_192
Ⅱ. 주거공동체 내에서의 장소애착과 신뢰 193
Ⅲ. 실증조사와 분석결과 195
1. 거주자 특성 차원_197
2. 주택 유형의 차원_199
3. 지역환경 특성 차원_200
Ⅳ. 결 론 204

제13장 마을만들기를 위한 지역자원의 발굴
Ⅰ. 마을만들기를 위한 지역자원 209
Ⅱ. 보랏빛 소를 본 적이 있는가? 212
Ⅲ. 지역자원으로서의 ‘아름다움’ 216

제14장 로컬푸드의 가치와 활용
Ⅰ. 신선하고 건강한 먹거리 219
Ⅱ. 로컬푸드의 의미와 지역운동 221
1. 로컬푸드의 의미_221
2. 로컬푸드 운동의 대두배경_222
Ⅲ. 한국의 로컬푸드 운동 사례: 서천의 ‘얼굴 있는 먹거리’ 227
Ⅳ. 외국의 로컬푸드 사례 및 특징 230
1. 영국 Totnes: 유기농 농장-지역화폐-식당의 연계_230
2. 일본 사례_232
3. 미국 사례: 미네소타 Moorhead시_234
Ⅴ. 로컬푸드 운동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236

제15장 살기 좋은 지역의 평가 방법론
Ⅰ. 살기 좋은 지역 241
Ⅱ. 살기 좋은 지역에 대한 국내외 평가 사례 243
1. 외국의 평가 사례_243
2. 한국의 평가 사례_245
Ⅲ. 살기 좋은 지역평가를 위한 방법과 지표 246
1. 평가 방법과 조사 설계_246
2.살기 좋은 지역평가를 위한 요인과 지표_248
Ⅳ. 객관적-주관적 평가 방법의 영향 251
Ⅴ. 결론 및 시사점 257

제16장 단절된 공동체의 역사성 회복을 위한 탐구
Ⅰ. 계(契), 주민들의 자발적 결사체 259
Ⅱ. 계에 대한 학설과 유형 262
Ⅲ. 안동과 강릉지역의 계회 267
1. 안동 우향계의 537년 역사_267
2. 안동 임계계_269
3. 강원도 강릉시 대동계_273
Ⅳ. 맺 는 말 277

참고문헌 279
인명색인 299
사항색인 301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