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기마족과 왜(倭) (알역31코너)

부여기마족과 왜(倭) (알역31코너)
부여기마족과 왜(倭) (알역31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존 카터 코벨 (지은이),김유경 (옮긴이)
출판사 / 판형 글을읽다 / 2006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44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16,8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동양미술사학자 존 카터 코벨의 한글판 두 번째 책. 지은이는 1978~86년까지 말년을 한국에 머물며 동서양 예술사를 넘나드는 폭넓은 시야로 한국문화를 탐색하는 1천4백여 편의 글을 남겼다. 지은이는 특히 일본미술사를 전공해 일본문화 속에서 한국문화의 자취를 포착하는 작업에 전념한 바 있다. 이번 책은 글을읽다에서 발간하는 존 코벨의 한국문화 시리즈 1권이다.

부여족의 야마토 정벌과 왕권 장악, 일본에 남아있는 한국문화와 한국이 일본에 전한 영향, 임진왜란과 조선통신사, 일본의 고질적인 역사왜곡을 학문적으로 밝히는 내용을 담은 글 62편을 수록했다.

목차

목차

편역자의 말

서론
한국의 영향과 일본의 숨겨진 역사; 부여기마족

1 부여족과 말(馬)
일본문화의 근원-부여, 가야 그리고 백제
부여기마족과 고고학
부여족의 항해와 말1; 기병과 보병의 전투력 비교
부여족의 항해와 말2; 말을 싣고간 방법
부여족과 말
페르가나의 말과 천마

2 바다 건너 왜로; 부여기마족의 왜 정벌
쓰루가의 한국인 자취
신공왕후와 아리나례강
신공과 ‘용감한 큰 곰’ 무내숙니
부여 바위왕자 진무왕 그리고 오진
오진과 백제의 우정
닌도쿠왕 시대; 바위공주 매사냥, 거대 고분 더보기

편역자의 말

서론
한국의 영향과 일본의 숨겨진 역사; 부여기마족

1 부여족과 말(馬)
일본문화의 근원-부여, 가야 그리고 백제
부여기마족과 고고학
부여족의 항해와 말1; 기병과 보병의 전투력 비교
부여족의 항해와 말2; 말을 싣고간 방법
부여족과 말
페르가나의 말과 천마

2 바다 건너 왜로; 부여기마족의 왜 정벌
쓰루가의 한국인 자취
신공왕후와 아리나례강
신공과 ‘용감한 큰 곰’ 무내숙니
부여 바위왕자 진무왕 그리고 오진
오진과 백제의 우정
닌도쿠왕 시대; 바위공주 매사냥, 거대 고분
부여족의 바위신사, 이소노카미 신궁
부여족의 바위와 이름-닌도쿠왕과 바위공주
천황 가계의 한국 산신과 삼종 신기
오진부터 게이타이 이전까지 완전한 부여혈통
부여족의 권력 투쟁과 변신
일본으로 간 부여 한국인들, 5세기 왜국의 지배자
부산항

3 학자들의 부여기마족 연구
그리피스의 진구왕후 일본정벌론; 펜은 칼보다 강하다
그리피스, 페놀로사가 밝히는 일본문화의 근원 한국
기다 사다기지와 에가미 나미오, 부여 기마민족설의 원조
개리 레저드와 코벨의 부여 기마민족 정벌론
북한 김석형의「삼한 삼국과 일본열도」
천관우와 백제의 칼 칠지도
한국역사의 3분의 1은 일본에 있다
일본의 첫 사서『구다라기(백제기)』
한일 간의 문화교류? 한국이 일방적으로 준 것이다
‘일본국의 시원’과 에가미 나미오 비판-최태영

4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임진왜란의 3코스와 아시안게임 성화 봉송로
임진왜란과 왜국의 첩보활동
이순신이 포획한 히데요시의 금부채
장보고와 이순신의 활동지, 주도
해상의 모든 전투에서 승리한 이순신과 거북선
임진왜란으로 조선, 분단될 뻔
충무공을 기리다
한국 원산 벚나무와 워싱턴
1607~1811년 간의 조선통신사
조선통신사에 대한 정치적 목적과 조선에 대한 외경
천명과 혁명

5 일본의 역사왜곡
한일 양국의 증오감
가토를 노린 한국 호랑이
한국미술사 칼럼 쓰며 일본인 이웃과 절교
한국의 영향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
한국문화의 뿌리 찾기
한국이 일본에 전한 6대 영향
역사를 통해 본 일본의 역사왜곡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을 보고
1300년 계속되는 역사왜곡과 일본사가들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군국시대 ‘신성한 천황’의 부활
솔직할 수 없는 일본인들
영국 사학자 조지 샘슨의 일본사
일본인을 좋아하지만 신뢰하지는 않는다
유구한 역사왜곡의 나라 일본
-나카소네 일본 총리 방한에 부쳐-앨런 코벨

존 카터 코벨 지음 <부여기마족과 왜(倭)> 원문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