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과 수설 - 400년을 이어온 성리 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알코너)

횡설과 수설 - 400년을 이어온 성리 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알코너)
횡설과 수설 - 400년을 이어온 성리 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알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승환 (지은이)
출판사 / 판형 휴머니스트 / 2012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56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9,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400년이 넘도록 평행선을 달려온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간의 성리 논쟁. 퇴계는 ‘리’와 ‘기’를 사람의 마음에 깃든 대비적인 관계로 파악했고, 율곡은 양자를 각기 형이상의 원리와 형이하의 재료로 파악했다. 개념에 대한 시각차로 인해 발생한 두 학파의 갈등은 단순한 철학 논쟁에 그치지 않고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를 관통하는 쟁점으로 이어졌다.

이 책 《횡설과 수설》은 퇴계-고봉, 우계-율곡, 외암-남당, 한주-간재 등 조선역사를 뒤흔든 성리 논쟁에 대해 명쾌한 풀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바로, ‘리’와 ‘기’ 두 가지 기호를 수평적으로 배치한 ‘횡설(橫說)’, 수직적으로 배치한 ‘수설(竪說)’이라는 기호학적 프레임을 통해 그 의미층위를 밝혀내는 것이다. 《횡설과 수설》은 퇴계학파가 견지했던 ‘횡설’의 프레임과 율곡학파가 견지했던 ‘수설’이 논리적으로 부딪히게 되었던 원인을 차근차근 논증해가면서, 결론적으로 성리 논쟁을 명쾌하게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프레임을 제시한다.

목차

목차

머리말
1장 성리학 입문을 위한 준비 연습
1. 들어가면서
2. 일상에서 ‘횡설(橫說)’과 ‘수설(竪說)’의 예
3. 기호 배치 방식과 문장 엮기
4. 공간지각과 성리학의 기호 배치 방식
5.‘횡설’·‘수설’과 조선 유학의 분기

2장 주자 성리학에서 ‘횡설’과 ‘수설’
1. 주자 성리학의 세 가지 기호 배치 방식
2. 주자 성리학의 핵심 개념: 성향, 감정, 예화
3. 주자의 ‘횡설’: 사단(四端)·칠정(七情)과 도심(道心)·인심(人心)
4. 주자의 ‘수설’: 승반(乘伴)과 공변(共變)
5.‘횡설’·‘수설’과 조선 성리학의 분기

3장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1. 퇴계-고봉 사칠 논변의 발단과 전개 과정
2. 퇴계의 ‘횡설’에 대한 고봉의 문제 제기
3. 고봉의 ‘수설’에 대한 퇴계의 응답
4. 퇴계의 수정 명제: 가치론적 ‘수설’ 더보기

머리말
1장 성리학 입문을 위한 준비 연습
1. 들어가면서
2. 일상에서 ‘횡설(橫說)’과 ‘수설(竪說)’의 예
3. 기호 배치 방식과 문장 엮기
4. 공간지각과 성리학의 기호 배치 방식
5.‘횡설’·‘수설’과 조선 유학의 분기

2장 주자 성리학에서 ‘횡설’과 ‘수설’
1. 주자 성리학의 세 가지 기호 배치 방식
2. 주자 성리학의 핵심 개념: 성향, 감정, 예화
3. 주자의 ‘횡설’: 사단(四端)·칠정(七情)과 도심(道心)·인심(人心)
4. 주자의 ‘수설’: 승반(乘伴)과 공변(共變)
5.‘횡설’·‘수설’과 조선 성리학의 분기

3장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1. 퇴계-고봉 사칠 논변의 발단과 전개 과정
2. 퇴계의 ‘횡설’에 대한 고봉의 문제 제기
3. 고봉의 ‘수설’에 대한 퇴계의 응답
4. 퇴계의 수정 명제: 가치론적 ‘수설’
5. 고봉의 재수정 권고
6. 문인들의 의심에 대한 퇴계의 해명
7. 퇴계-고봉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이유: 프레임의 차이
8.〈성학십도〉에 나타난 퇴계의 최종 입장

4장 남명의 성리설은‘횡설’인가?
1. 남명은 퇴계와 ‘불약이합(不約而合)’했는가?
2. 남명의 〈학기도(學記圖)〉에 보이는‘횡설’프레임
3. 남명의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는 그 자신이 그린 도표인가?
4. 깊어가는 의심: 왜 중간본에서는 〈학기도(學記圖)〉를 대폭 삭제해버렸는가?
5. 정복심의 《사서장도(四書章圖)》를 찾아서
6.《사서장도(四書章圖)》와 에도 시대의 주자학
7.〈학기도(學{記圖)〉는 위조되었는가?
8. 어떻게 사태를 봉합할 것인가?

5장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1. 우계-율곡의 도의지교(道義之交)
2. 우-율 논쟁의 발단
3. 우계의 ‘횡설’에 대한 율곡의 반론
4. 율곡의 ‘수설’에 대한 우계의 재반론
5. 퇴계의 ‘횡설’에 대한 율곡의 비판
6. 우계-율곡의 최종 입장과 합의의 결렬
7.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간의 불통과 비난

6장 노론 내부에서 ‘횡설’과 ‘수설’의 격돌
1. 프레임의 차이와 호락(湖洛)논쟁의 발단
2. 동문들의 ‘횡설’에 대한 남당의 비판
3. 외암의 ‘횡설’과 남당의 ‘수설’: 오상(五常)과 관련하여
4. 외암의 ‘횡설’과 남당의 ‘수설’: 은(隱)·비(費)와 관련하여
5. 외암의 ‘횡설’과 남당의 ‘수설’:
사성(四性)·지각(知覺)과 관련하여
6. 프레임의 차이와 호론·낙론의 분기

7장 성리 논쟁에 대한 다산의 메타비평
1. 성리 논쟁의 양상에 대한 다산의 묘사
2. 성리 논쟁 이해에 관한 다산의 곡절과 경위
3. 전론(專論)과 총론(總論)
4. 리(理)·기(氣) 개념의 중의성
5. 텍스트(text)와 콘텍스트(context)
6. 성리 논쟁은 성리학 본연의 목표에 부합하는가?
7. 이론에서 실천으로, 향내(向內)에서 향외(向外)로

8장 근대 전야의 성리 논쟁
1. 그래도 계속되는 성리 논쟁(1): 간재의 한주 비판
2. 그래도 계속되는 성리 논쟁(2): 간재의 화서 비판
3. 근대 전야의 ‘문명 담론’과 기호 배치 방식

9장 ‘횡설’과‘수설’을 하나로 통합하기
1.‘프레임 통합’의 필요성
2. 퇴계의 도덕심리학적 성향론: ‘횡설’ 프레임의 의의와 한계
3. 율곡의 존재론적 승반론: ‘수설’ 프레임의 의의와 한계
4. 퇴계와 율곡의 화해: ‘횡설’과 ‘수설’의 통합
5. 통합된 프레임의 현재적 응용
6. 사변 성리학에서 분석 성리학으로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