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알집22코너)

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알집22코너)
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알집22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윤식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42쪽
정가 / 판매가 11,000원 / 2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목차

머리말: ‘근대’의 시선에서 바라본 어떤 어법과 논리

하나. 미당의 엽서와 동리의 편지
1. 제3의 『화사집』 저자
2. 「엽서」의 내막
3. 도스토예프스키 닮기
4. 실연에 대한 김동리의 어법과 미당의 어법
5. 보들레르 및 서울 여자와의 결별 방식
6. 「엽서」에 대한 10년 만의 회신

둘. 미당 어법의 존재방식 ― 소쩍새 울음과 뻐국새 울음9
1. 해인사의 세 가지 요괴로움
2. 가야산 계곡물에 뛰어들기
3. 지귀도 앞바다에 뛰어들기
4. 보들레르와의 결별 장면
5. 소쩍새 울음과의 친근성
6. 세계의 끝장의식으로서의 뻐꾹새 울음
7. 서사 무가와의 만남 ― 미당 시학이 멈춘 곳

셋. 김동리 문법의 존재방식 ― 숭고의 정체 더보기

머리말: ‘근대’의 시선에서 바라본 어떤 어법과 논리

하나. 미당의 엽서와 동리의 편지
1. 제3의 『화사집』 저자
2. 「엽서」의 내막
3. 도스토예프스키 닮기
4. 실연에 대한 김동리의 어법과 미당의 어법
5. 보들레르 및 서울 여자와의 결별 방식
6. 「엽서」에 대한 10년 만의 회신

둘. 미당 어법의 존재방식 ― 소쩍새 울음과 뻐국새 울음9
1. 해인사의 세 가지 요괴로움
2. 가야산 계곡물에 뛰어들기
3. 지귀도 앞바다에 뛰어들기
4. 보들레르와의 결별 장면
5. 소쩍새 울음과의 친근성
6. 세계의 끝장의식으로서의 뻐꾹새 울음
7. 서사 무가와의 만남 ― 미당 시학이 멈춘 곳

셋. 김동리 문법의 존재방식 ― 숭고의 정체
1. 「무녀도」와 「산제」의 대응관계
2. 개작으로서의 「산이야기」
3. 주산(朱山)과 아기장수 설화
4. 산신각의 사상/ 68
5. 「먼산바라기」의 기묘한 표정과 그 이유
6. 사반의 혼령 불러내기의 소설적 의미
7. 미적인 것에 대한 ‘숭고’의 우위성

넷. 무(無) 속에서 전개되는 변증법 ― 『시인부락』의 어떤 생리와 논리
1. 「벽」과 60년의 세월
2. 요괴스러움의 정체
3. 허깨비끼리의 마주 보기
4. 문학사적 만남, ‘표현’에의 접맥
5. 물질과 정신의 변증법

다섯. 원형의 창조와 변형의 창조 ― 「목탁새」에 대하여
1. 개작의 계보
2. 「목탁새」의 원형성
3. 자연과 근대 사이에 징검다리 놓기
4. 「극락조」의 통속화
5. 원형과 변형
6. 저승새의 위상

여섯. 근대 이전의 어법 복원을 위한 미당의 표정 ― 문학사적 위상 시론
1. 아홉 번째의 「무제」
2. 마음의 해방 좇기
3. 제일 슬픈 이화중선(李花中仙)과 이중선(李中仙)의 촉기
4. 미당과 이상의 대화 엿듣기
5. 미당 어법과 지방성의 과제

일곱. 「무녀도」계와 「산제」계의 대비
1. 개작 「무녀도」
2. 「무녀도」의 완성도에 대한 인식
3. 「무녀도」와 「산제」의 평행성
4. 「산제」의 개작으로서의 「산이야기」
5. 「산제」 「황토기」 「사반의 십자가」 ― 아기장수 설화의 행방
6. ‘미적인 것’과 ‘숭고’에 관하여

여덟. 「목공 요셉」 3부작 「마리아의 회태」
1. 「솔거」 3부작
2. 두 종류의 3부작의 내력
3. 「마리아의 회태」와 「목공 요셉」
4. 『사반의 십자가』와 「부활」
5. 「부활」에서 맞선 예수와 사반

아홉. 김동리의 유고 「미정고」론
1. 「윤회설」이 보여 준 작가의 태도
2. 작가의 의도가 지닌 한계점
3. 문학권의 4각 구조
4. 작가 제국주의적 측면
5. 「미정고」의 분위기
6. 해명학원과 광명학원
7. 「미정고」의 끝대목
8. 「미정고」에 대한 문학연구 쪽의 견해
9. 시간성과 순금의 의의

열. 울림의‘영산홍’과 보임의‘영산홍’

열하나. 자연과 근대 사이의 매개항 찾기 ― 방법으로서의 진달래와 뻐꾸기
1. 뻐꾸기에 대한 미당 시학의 한계
2. 근친상간 모티프와 진달래
3. 강요된 화해와 자연스런 화해
4. 청산과 인간, 그리고 근대와의 거리재
5. 자연과 근대 사이에 원(願) 세우기
6. 진달래, 그 형언할 수 없는 절대성
7. 매개항 자체의 절대성 인식
8. 김동리 미학의 방법 넘어서기

열둘. 초월과 귀의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