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 동아시아 자료총서 12 (알인70코너)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 동아시아 자료총서 12 (알인70코너)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 동아시아 자료총서 12 (알인7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슌사오 (지은이), 김경호 (옮긴이)
출판사 / 판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5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84쪽
정가 / 판매가 26,000원 / 22,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도서 설명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 꾸준히 펴내고 있는 동아시아자료총서의 열두 번째 책으로서, 동아시아 고대 역사 · 문화 분야에서 출토자료들을 통한 실증적인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김경호 교수가 상세하고 친절한 역주와 함께 풍부한 번역을 꾀했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의 주요 내용은 양한시기의 경학이 발달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서술이다. 우선 경학이 하나의 학설로서 체계화된 이론과 매 시기마다 이를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상이 되었음을 언급하고, 이를 통해 씨족 혈연사회의 주요 정치체제였던 종법제로부터 소가족이 중심이 된 진한사회로의 발전을 설명하고 있다.

2장에서는 양한 경학의 문화적 연원에 대한 서술이다. 무엇보다도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경(經)은 결코 유가(儒家) 저작만의 칭호가 아니다.”라는 점이다. 한대 경학은 신성화 · 참위화 · 음양오행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선진시기의 유학과는 달리 더욱 강렬한 목적성, 즉 경학으로써 사회를 통치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저자의 관점은 3장과 4장에서 구체적 서술로서 전개되고 있다. 3장은 양한시기 육경(六經)이 전승된 방법을 각각의 경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며, 4장에서는 경학이 실제적으로 한대사회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가에 대해 서술한다. 요컨대 금고문(今古文) 경학과 양한의 학술 · 정치적 관계, 상서(祥瑞)와 재이(災異)로서 군권을 제한하는 이른바 참위적 성격으로서의 경학, 사회질서의 핵심적 요소인 효(孝)를 통한 천하의 통치 그리고 경학과 한대의 행정제도와의 상관성을 언급했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