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암선사연구 (알알코너)

한암선사연구 (알알코너)
한암선사연구 (알알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고영섭, 변희욱, 윤창화, 김호성, 김광식, 김종진, 인경스님, 한암사상연구원, 이상하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민족사 / 2015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92쪽
정가 / 판매가 32,500원 / 27,4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민족사학술총서 69권. 이 책은 한국불교의 대표적 사표(師表)인 한암선사의 사상과 가르침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암사상' 제1집에서 제4집에 수록된 주요 논문들을 모아 수정, 보완하여 한 권의 책으로 편찬한 것이다.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인 한암선사(漢岩重遠, 1876~1951). 그는 허명(虛名)을 멀리하고 난설(亂舌)을 경계하며 치열한 수행력을 바탕으로 격변기 한국불교를 이끌어 온 고승(高僧)이다. 1925년, 선사는 서울 봉은사 조실(祖室)로서 “내 차라리 천고에 자취를 감춘 학이 될지언정 말 잘하는 앵무새는 되지 않겠노라(寧爲千古藏踵鶴, 不學三春巧語鸚)”라는 말을 남기고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에 주석(住錫)한 이래 27년 간 일체의 출입을 금하고 수행정진(修行精進)과 후학양성(後進養成)에만 진력(盡力)하였다.

1929년, 한암선사는 조선불교 선교(禪敎) 양종(兩宗) 승려대회에서 교정(敎正=宗正)으로 추대되었고, 1941년, 조계종 창종(創宗) 때에는 초대 종정(宗正)으로 추대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교정(敎正, 종정)을 지내는 등 모두 네 차례에 걸쳐 종정(宗正)을 역임하였다. 이로써 보건대 한암선사에 대한 당대 승려들의 존경심이 대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간사 … 4

1. 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一生敗闕」 …………………… 윤창화

<요약문> ………………………………………………………………………… 14
Ⅰ. 서두 … ……………………………………………………………………… 15
Ⅱ. 資料의 발견 경위 … ……………………………………………………… 16
Ⅲ. 「一生敗闕」의 作者와 筆寫者 …………………………………………… 18
1. 作 者 …………………………………………………………………… 18
2. 筆寫者 …………………………………………………………………… 19
Ⅳ. 「一生敗闕」 全文 판독 …………………………………………………… 21
1. 原 文 …………………………………………………………………… 21
2. 飜 譯 ……………………………………………………………………… 25
Ⅴ. 「一生敗闕」의 內容 분석과 漢巖의 悟道과정 ………………………… 31
Ⅵ. 呑虛 撰 「漢巖碑銘」과의 相異點 … …………………………………… 50
Ⅶ. 맺는말 … …………………………………………………………………… 52
부록 : 「一生敗闕」 年譜와 「一生敗闕」 필사본 …………………………… 54

2. 方漢岩과 曹溪宗團 ……………………………………………… 김광식

발간사 … 4

1. 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一生敗闕」 …………………… 윤창화

<요약문> ………………………………………………………………………… 14
Ⅰ. 서두 … ……………………………………………………………………… 15
Ⅱ. 資料의 발견 경위 … ……………………………………………………… 16
Ⅲ. 「一生敗闕」의 作者와 筆寫者 …………………………………………… 18
1. 作 者 …………………………………………………………………… 18
2. 筆寫者 …………………………………………………………………… 19
Ⅳ. 「一生敗闕」 全文 판독 …………………………………………………… 21
1. 原 文 …………………………………………………………………… 21
2. 飜 譯 ……………………………………………………………………… 25
Ⅴ. 「一生敗闕」의 內容 분석과 漢巖의 悟道과정 ………………………… 31
Ⅵ. 呑虛 撰 「漢巖碑銘」과의 相異點 … …………………………………… 50
Ⅶ. 맺는말 … …………………………………………………………………… 52
부록 : 「一生敗闕」 年譜와 「一生敗闕」 필사본 …………………………… 54

2. 方漢岩과 曹溪宗團 ……………………………………………… 김광식

<요약문> ………………………………………………………………………… 62
Ⅰ. 서언 … ……………………………………………………………………… 64
Ⅱ. 조선불교 禪敎兩宗의 교정 ……………………………………………… 66
Ⅲ. 朝鮮佛敎 禪宗의 종정 …………………………………………………… 70
Ⅳ. 조선불교 조계종의 종정 … ……………………………………………… 76
Ⅴ. 대한불교의 종정 …………………………………………………………… 83
Ⅵ. 한암의 종정에 나타난 성격 ……………………………………………… 89
Ⅶ. 결어 … ……………………………………………………………………… 91

3. 한암의 건봉사결사와 念佛參禪無二論 ……………… 김호성

<요약문> ………………………………………………………………………… 96
Ⅰ. 머리말 ……………………………………………………………………… 98
Ⅱ. 『寒巖禪師法語』의 사료적 가치 ………………………………………… 101
Ⅲ. 건봉사, 염불결사에서 수선결사로 ……………………………………… 107
Ⅳ. 염불과 참선의 둘이 아닌 관계 ………………………………………… 115
1. 염불과 참선에 대한 정의 ……………………………………………… 117
2. 염불과 참선의 무이론(無二論) ……………………………………… 121
(1) 자성미타와 염불선 ……………………………………………… 121
(2) 고성염불 비판 ……………………………………………………… 125
Ⅴ. 맺는말 … …………………………………………………………………… 132

4. 漢岩의 一鉢禪 ……………………………………………………… 고영섭

<요약문> ………………………………………………………………………… 140
Ⅰ. 문제와 구상 ………………………………………………………………… 143
1. ‘반고씨 이전’과 ‘참다운 성품’ ……………………………………… 147
2. 천고의 학과 삼춘의 앵무새 ………………………………………… 150
Ⅱ. 율사와 선사의 살림살이 ………………………………………………… 159
1. 質直한 성품과 高明한 학문 ………………………………………… 159
2. 유장한 선풍과 활달한 교풍 ………………………………………… 163
3. 守拙의 살림살이 … …………………………………………………… 171
Ⅲ. 일발선풍의 지형도 ………………………………………………………… 175
1. 一鉢의 함의 … ………………………………………………………… 175
2. 물러나는[藏?] 참여 ………………………………………………… 176
3. 나아가는[巧語] 침묵 ………………………………………………… 180
4. 胸襟과 把?의 활구 …………………………………………………… 183
Ⅳ. 정리와 맺음 ………………………………………………………………… 186
1. 법화와 행리의 응축 …………………………………………………… 186
2. 장종과 교어의 확산 …………………………………………………… 187

5. 漢岩禪師의 서간문 고찰 …………………………………… 윤창화

<요약문> ………………………………………………………………………… 190
Ⅰ. 서두 ………………………………………………………………………… 191
Ⅱ. 서간문의 개요와 성격 …………………………………………………… 192
Ⅲ. 각 서간문 고찰 …………………………………………………………… 194
Ⅳ. 맺는말 ……………………………………………………………………… 250

6. 寒巖禪師의 「參禪曲」 …………………………………………… 김종진

<요약문> ………………………………………………………………………… 254
Ⅰ. 머리말 ……………………………………………………………………… 257
Ⅱ. 서지적 고찰 ………………………………………………………………… 259
1. 『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 ……………………………… 260
2. 『寒巖禪師法語』의 편찬의식과 사회역사적 맥락 ………………… 264
3. 「참선곡」의 작자?발기인?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 268
Ⅲ.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 ………………………………………… 273
1. 「회심곡」 「자책가」 「백발가」와의 상호텍스트성 …………………… 275
2. 『수심결』 및 경허가사와 한암 법문과의 상호텍스트성 … ……… 278
3. 불교가사의 구성 원리와 상호텍스트성 … ………………………… 287
Ⅳ. 맺는말-문화사적 의의 …………………………………………………… 290

7. 漢巖禪師의 看話禪思想 … ……………………………………… 인경

<요약문> ………………………………………………………………………… 294
Ⅰ. 머리말 … …………………………………………………………………… 296
Ⅱ. 전편의 체계와 사상 … …………………………………………………… 297
1. 체계 ……………………………………………………………………… 298
2. 思想 ……………………………………………………………………… 301
Ⅲ. 후편의 체계와 사상 … …………………………………………………… 306
Ⅳ. 맺는말 … …………………………………………………………………… 315

8. 漢巖의 宗祖觀과 道義國師 ………………………………… 김광식

<요약문> ………………………………………………………………………… 318
Ⅰ. 서언 … ……………………………………………………………………… 321
Ⅱ. 1910~1920년대 종조문제의 인식 ……………………………………… 323
Ⅲ. 한암의 종조관 피력 … …………………………………………………… 331
Ⅳ. 결어 … ……………………………………………………………………… 339

9. 鏡虛의 지음자 漢岩 ……………………………………………… 윤창화

<요약문> ………………………………………………………………………… 346
Ⅰ. 서두 … ……………………………………………………………………… 348
Ⅱ. 경허와 한암의 조우(遭遇) ……………………………………………… 348
1. 첫 번째 만남 … ………………………………………………………… 348
2. 두 번째 만남 … ………………………………………………………… 357
3. 세 번째 만남 … ………………………………………………………… 357
Ⅲ. 경허의 인가(印可) ………………………………………………………… 362
Ⅳ. 경허의 지음자 한암 … …………………………………………………… 364
Ⅴ. 한암의 경허 승화(昇華) 작업 …………………………………………… 372
Ⅵ. 맺는말 … …………………………………………………………………… 380

10. 한암의 格外關門과 看話 …………………………………… 변희욱

<요약문> ………………………………………………………………………… 384
Ⅰ. 한암의 선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 …………………………………… 386
Ⅱ. 敎外別傳 …………………………………………………………………… 388
Ⅲ. 無說法門과 격외지 … …………………………………………………… 393
Ⅳ. 一句法門과 간화, 그리고 격외지 … …………………………………… 397
Ⅴ. 경허와 한암의 간화 인연 ………………………………………………… 402
Ⅵ. 관문 ‘경허’와 ‘한암’을 돌파하는 법 … ………………………………… 411
1) 한암이 던진 관문 … ………………………………………………… 411
2) 어떻게 경허와 한암의 선을 새길 것인가? ………………………… 411
3) 어떻게 해야 선지식의 의도에 사무칠 수 있을까? … …………… 414

11. 한암 선사의 선문답과 공안 ……………………………… 윤창화

<요약문> ………………………………………………………………………… 418
Ⅰ. 선문답의 의의와 역할 … ………………………………………………… 420
Ⅱ. 선문답의 성격과 그 분류 ………………………………………………… 423
Ⅲ. 한암 선사의 선문답 … …………………………………………………… 425
Ⅳ. 맺는말 … …………………………………………………………………… 465

12. 한암과 만공의 同異, 그 행적에 나타난 불교관 …… 김광식

<요약문> ………………………………………………………………………… 470
Ⅰ. 서언 … ……………………………………………………………………… 472
Ⅱ. 한암과 만공의 행적 … …………………………………………………… 476
Ⅲ. 한암 및 만공 노선의 성격 … …………………………………………… 481
1. 종단관 …………………………………………………………………… 482
2. 교육관 …………………………………………………………………… 487
3. 개혁관 …………………………………………………………………… 494
Ⅳ. 한암 및 만공 가르침의 특성 … ………………………………………… 501
Ⅴ. 결어 ………………………………………………………………………… 508

13.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와 변모 양상 … …… 이상하

<요약문> ………………………………………………………………………… 512
Ⅰ. 머리말 … …………………………………………………………………… 514
Ⅱ.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 ……………………………………………… 515
Ⅲ. 『경허집』 漢巖筆寫本과 禪學院本의 차이 …………………………… 521
1) 한암필사본에만 있는 작품 …………………………………………… 522
2) 선학원본에만 있는 작품 : 73제 98수 ……………………………… 523
3) 선학원본에서 제목에 글자 출입만 있는 경우 … ………………… 524
4) 제목과 편차가 달라진 경우 … ……………………………………… 525
Ⅳ. 『경허집』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 …………………………………… 529
Ⅴ. 맺는말 … …………………………………………………………………… 538

14. 漢巖과 呑虛의 불교관 … …………………………………… 고영섭

<요약문> ………………………………………………………………………542
I. 문제와 구상 … …………………………………………………………… 545
II. 생사와 해탈의 통로 … …………………………………………………… 549
III. 한암과 탄허 가풍의 동처 ………………………………………………… 555
1. 한암의 일발 선풍 ……………………………………………………… 556
2. 탄허의 향상일로 선풍 ………………………………………………… 563
IV. 한암과 탄허 가풍의 부동처 … ………………………………………… 568
1. 한암의 해탈관 … ……………………………………………………… 569
2. 탄허의 생사관 … ……………………………………………………… 574
V. 오대산문의 살림살이 ……………………………………………………… 580
VI. 정리와 맺음 ………………………………………………………………… 585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