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집 (알인74코너)

고운집 (알인74코너)
고운집 (알인7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최치원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출판사 / 판형 한국고전번역원 / 2009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64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18,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신라 말 고운 최치원의 글과 사적 등을 수록한 문집. 최국술본 문집 3권 2책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표점영인하여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제1집 소재 <고운집>을 번역한 것이다. 다만, 권2,3에 실려 있는 일명 '사산비명(四山碑銘)'은 학계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반영한 이우성 교주본 <신라사산비명>(아세아문화사, 1995)의 원문을 채택하여 번역하고 소주는 번역하지 않았다.

일러두기

해제 : 최치원의 저술과 고뇌, 그리고 역사 탐구 / 곽승훈

원문제목 찾아보기

고운집 중간서

고운 선생 문집 중간 서문〔孤雲先生文集重刊序〕[노상직(盧相稷)]

고운집 편집서

고운 선생 문집 편집 서문〔孤雲先生文集編輯序〕[최국술(崔國述)]

고운 선생 사적

삼국사 본전〔三國史本傳〕
동국통감〔東國通鑑〕
동사찬요〔東史纂要〕
삼국유사〔三國遺事〕

일러두기

해제 : 최치원의 저술과 고뇌, 그리고 역사 탐구 / 곽승훈

원문제목 찾아보기

고운집 중간서

고운 선생 문집 중간 서문〔孤雲先生文集重刊序〕[노상직(盧相稷)]

고운집 편집서

고운 선생 문집 편집 서문〔孤雲先生文集編輯序〕[최국술(崔國述)]

고운 선생 사적

삼국사 본전〔三國史本傳〕
동국통감〔東國通鑑〕
동사찬요〔東史纂要〕
삼국유사〔三國遺事〕
가승〔家乘〕
여지승람〔輿地勝覽〕
단전요의〔檀典要義〕
최고운의 난랑비 서문 및 삼국사〔崔孤雲鸞郞碑序及三國史〕
동사보유〔東史補遺〕
서유구의 《계원필경》 서문〔徐有矩桂苑筆耕序〕
서악지〔西岳誌〕
숙묘가 병자년(1696, 숙종22)에 무성서원에 치제한 제문〔肅廟丙子武城書院致祭文〕
학사당에서 평상시에 제향하는 축문〔學士堂常享祭文〕
정조가 친히 제문을 지어 화성의 교궁에서 치제할 때 문창공에게 올린 축문〔正祖御製華城校宮致祭時文昌公祝文〕
계림사를 옮겨 세울 때 고유한 축문〔桂林祠移建時告由祝文〕[후손 최종석(崔鍾奭)]
낭산 독서당의 유허비〔狼山讀書堂遺墟碑〕[이원조(李源祚)]
백연사의 기문〔柏淵祠記〕[황경원(黃景源)]
태인 유상대의 비기〔泰仁流觴臺碑記〕[조지겸(趙持謙)]
청학동의 비명〔靑鶴洞碑銘〕[정두경(鄭斗卿)]
계림사를 옮겨 세운 뒤의 상량문〔桂林祠移建上樑文〕[후손 최국술(崔國述)]
청도 영당의 기문〔淸道影堂記〕[노상직(盧相稷)]사원〔祠院〕

고운집 제1권

부(賦)
새벽의 노래〔詠曉〕

시(詩)
우흥〔寓興〕
접시꽃〔蜀葵花〕
강남의 여인〔江南女〕
고의〔古意〕
가을밤 비 내리는 속에〔秋夜雨中〕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도중에 짓다〔途中作〕
요주 파양정에서〔饒州?陽亭〕
산양에서 고향 친구와 작별의 이야기를 나누며〔山陽與鄕友話別〕
우강역정에 제하다〔題芋江驛亭〕
봄날에 지우를 불러도 오지 않기에〔春日邀知友不至〕
서경 김 소윤 과 작별하며 남겨 준 시〔留別西京金少尹 〕
금천사 주지에게 주다〔贈金川寺主〕
재곡 난야의 독거하는 승려에게 주다〔贈梓谷蘭若獨居僧〕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가야산 독서당에 제하다〔題伽倻山讀書堂〕
장안의 여사에서 이웃에 거하는 우신미 장관에게 주다〔長安旅舍與于愼微長官接隣〕운문 난야의 지광 상인에게 주다〔贈雲門蘭若智光上人〕
운봉사에 제하다〔題雲峯寺〕
당성에 나그네로 노닐면서 선왕의 악관에게 주다〔旅遊唐城贈先王樂官〕
윤주 자화사 상방에 올라〔登潤州慈和寺上房〕
가을날에 우이현을 다시 지나면서 이 장관에게 부치다〔秋日再經??縣寄李長官〕
오 진사가 강남에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送吳進士 歸江南〕
봄날의 새벽에 우연히 쓰다〔春曉偶書〕
모춘즉사 시를 지어 사신으로 간 벗 고운에게 화답하다〔暮春?事和顧雲友使〕
장 진사가 시골에서 병중에 부친 시에 화답하다〔和張進士 村居病中見寄〕
바다에 배를 띄우고〔泛海〕
여지도에 제하다〔題輿地圖〕
고소대〔姑蘇臺〕
벽송정〔碧松亭〕
희랑 화상에게 증정하다〔贈希朗和尙〕
호원 상인에게 부치다〔寄顥源上人〕

표(表)
신라 하정표 〔新羅賀正表 〕
양위표〔讓位表〕
기거표〔起居表〕
사사위표〔謝嗣位表〕
사은표〔謝恩表〕
북국이 위에 있도록 허락하지 않은 것을 사례하며 올린 표문〔謝不許北國居上表〕
조서 두 함을 내린 것을 사례한 표문〔謝賜詔書兩函表〕
백제가 사신을 보내 북위에 조회한 표문〔百濟遣使朝北魏表 〕

장(狀)
숙위하는 학생과 수령 등을 차견하여 입조하게 한 장문 〔遣宿衛學生首領等入朝狀 〕
숙위하는 학생을 번국으로 방환해 주기를 주청한 장문〔奏請宿衛學生還蕃狀〕
신라의 왕이 당나라 강서의 고 대부 에게 보낸 장문〔新羅王與唐江西高大夫 狀〕
예부 배 상서 에게 보낸 장문〔與禮部裴尙書 狀〕
청주 고 상서에게 보낸 장문〔與靑州高尙書狀〕
태사 시중에게 올린 장문〔上太師侍中狀〕

계(啓)
양양 이 상공에게 관급을 사양하겠다고 올린 계문〔上襄陽李相公讓館給啓〕

기(記)
신라 가야산 해인사 결계 도량의 기문〔新羅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
선안주원 벽의 기문〔善安住院壁記〕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의 기문〔新羅壽昌郡護國城八角燈樓記〕

고운집 제2권

비(碑)
무염 화상 비명〔無染和尙碑銘 〕
진감 화상 비명〔眞監和尙碑銘 〕

고운집 제3권

비(碑)
대숭복사 비명〔大嵩福寺碑銘 〕
지증 화상 비명〔智證和尙碑銘 〕

찬(讚)
화엄 불국사의 석가여래상을 수놓은 당번에 대한 찬〔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 〕
대화엄종 불국사의 아미타불상에 대한 찬 〔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讚 〕
순응 화상에 대한 찬〔順應和尙贊〕
이정 화상에 대한 찬〔利貞和尙贊〕

고운집 발

발〔跋〕 [최재교(崔在敎)]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